목록SelfStudy (67)
YJ의 새벽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r6Xm/btr4sV9tlx3/iRFdgKUaGY4nOHTcE1vDgK/img.png)
아파치 톰캣 을 받아보자 . https://tomcat.apache.org/ --> Tomcat 9 --> core zip 다운로드 . 이클립스 실행환경을 Java EE 로 변경 한다. (화면 우측상단 ) 톰캣 연동전 preferences 설정. 체크해두면 프로젝트에 파일생성시, 자동으로 새로고침 해준다. UTF-8 체크. CSS,HTML,JSP UTF-8 체크. preferences --> server --> runtime environments 톰켓 추가해보자. 다운받은 버전 클릭. 경로 찾아서 지정해주고 , 들어온지 확인하자 . Servers 창에 가서 누르고 , 톰켓버전 클릭, 서버네임 설정. 프로젝트를 만들자 . JAVA 프로젝트가 아니라 . Dynamic Web Project 로 만들어야한다...
-- 기본생성자 클래스, ( VO 클래스 ) -- DB 연결(Connection 생성) 트랜잭션 제어 JDBC 객체 자원 반환(close) 반복코드를 모아놓은 클래스 ( Template 클래스 ) -- 실행부. main 메서드클래스 ( Run 클래스 ) 1 순서 -- 데이터가공, 트랜잭션제어클래스 ( Service 클래스 ) 2 순서 -- DB에서 SQL 수행,반환하는 클래스 ( DAO 클래스 ) 3 순서 5 개의 클래스로 역할을 나누어 DB에 접근해본다. 2 개의 .xml 파일로 DB접근 데이터를 나누어본다. -- .xml 파일에 미리 쿼리문과, DB 접근에 쓰일 driver 정보들을 따로 저장해놓는다 . -- xml 파일에 특화된 Properties 로 .xml에 접근한다. Connect에 쓰일 dr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UflA/btr3Hn6LbFh/jHqx8lZfOYLvFxSKQK9H20/img.png)
정규화 -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구조화 하는 작업 --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,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-- 삽입, 삭제, 갱신 이상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함. ** 제 1 정규화 ★ -- 엔티티에서 하나의 속성이 복수의 값을 갖도록 설계되었을 때 하나의 속성이 단일 값을 갖도록 하는것. ** 제 2 정규화 -- 주식별자가 아닌 속성중 주식별자 전체가 가닌 일부 속성에 종속된 속성을 찾아 제거하는것. ( 부분종속 ) ** 제 3 정규화 -- 주식별자가 아닌 속성중에서 종속관계에 있는 속성을 찾아 제거하는것. ( 이행종속 )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62kl/btr2TCJwtIa/kFQzebzbkKkw0gXlz7mdR1/img.png)
ERD -- 개체 관계도 , 요구분석사항에서 얻어낸 엔티티와 속성들을 그림으로 그려내어 그 관계를 도출한 것. ERD 표기법 ( 식별자 ) ★ -- 유일성 : 주 식별자에 의해 엔엔티 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함 ( 중복 X ) -- 최소성 :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함. -- 불변성 : 주식별자가 한 번 특정 엔티티에 지정되면 그 식별자의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함. -- 존재성 : 주식별자가 지정되면 반드시 데이터값이 존재해야 함 ( NOT NULL ) ERD 표기법 ( 관계 ) ERD표기법 ( 식별-비식별 관계 ) ★ EX )))) ★ https://www.erdcloud.com/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RwUu/btr2H6xBW5I/yk1tSmzrr9HaK3TXz2Bgjk/img.png)
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( Usecase Diagram ) -- Actor와 시스템이 수행아는 활동간의 관계를 표시, 시스템의 기능적인 요구사항을 설명하기위한 도구. Actor :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상호작용을 하는 다른 시스템, 프로그램등을 의미. ★★ 클래스 다이어그램 ( Class Diagram ) -- 정적 (구조) 다이어그램으로 UML 모델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-- 시스템의 구조와 구조간 상호관계를 나타내며 시스템의 논리적 및 물리적 구성요소 설계시 주로 사용 시퀀스 다이어그램 -- 동적다이어그램 종류 시퀀스, 커뮤니케이션, 스테이트, 인터랙선오버뷰, 타이밍 .... -- 동적(행위) 다이어그램으로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의 일부분이며, 시스템 내부에서 동작하는 객체들 사이의 주고 받는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XK8c/btr2OszzHva/852G6kEwuvyCrRKJFnfz4K/img.png)
** 엔티티 == table ** 속성 == 컬럼 ** 인스턴스 == row ** 모델링 : 말그대로 모델을 만드는 작업을 뜻함 . 즉, 현실세계를 단순화 시켜 표현하는 기법 . DB 모델링 주요 개념 ★ ** 엔티티 (Entity) == Table 유형 : 물리적인 형태 자체가 있는것. ex ) 고객, 상품 , 거래처 , 무형 : 물리적인 형태가 없고 개념적으로만 존재. ex ) 선호도 문서 : 업무 절차상 사용되는 문서 ex ) 장부, 전표, 거래명세서, 입출금전표 이력 : 업무상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. ex ) 사건의 내용, 일자, 시간별로 저장하기위한 엔티티 코드 : 국가코드, 색상코드 , 직급분류코드 .... 무형엔티티 일종 *** 엔티티 (Entity) 조건 -- 업무의 관심 대상이 되는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afCp/btrZ2y4fJWE/p0JpSou8YkUKfIMk8cKbd0/img.png)
**이진트리 (Binary Tree) -- 트리의 분지 수가 2 이하인 트리 -- 자식이 최대 2개이기때문에 왼쪽자식과 오른쪽 자식으로 구분 **이진트리 종류 -정 이진트리 : 모든 노드의 차수가 0또는 2인 이진트리 -포화 이진트리 : 정 이진트리에서 모든 단말 노드의 깊이가 같은 이진트리 -완전 이진트리 : 마지막 레벨은 노드가 왼쪽에 몰려있고 마지막레벨을 제외하면 포화 이진트리구조를 띄고있는 이진트리 -사향 이진트리 : 한 줄로 연결되어있는 형태의 이진트리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--이진트리 전위순회 :: A - B - D - E - C - F - G --현재노드방문 -> 왼쪽자식노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XLUZ/btrZ4bOkqif/hJrSkc1Yew43m3F2hwYOk0/img.png)
피보나치수열 -- 다음 항이 이전 두개의 합으로 표현되는 수열. --재귀함수로 피보나치수열을 구현 --반복문을 이용한 구현 --동적계획법을 이용한 구현. public class Fibonacci { public Fibonacci() { // 20 번째 값을 구한다. int result = recursion(20); System.out.println(result); repeat(20); dp(20); } private int recursion(int n) { // 재귀함수로 구현. if( 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