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Spring/HTTP 웹 기본지식 (11)
YJ의 새벽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a9ac/btr8xWBSI5c/DoCLYp4mfAejxpJFQA8UJ0/img.png)
HTTP 메서드 종류 -- GET : 리소스 조회 -- POST : 요청 데이터 처리, 주로 등록에 사용 -- PUT : 리소스를 대체 ,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-- PATCH : 리소스 부분변경 -- DELETE : 리소스 삭제. -- HEAD : GET과 동일하지만, 메시지부분을 제외하고 상태줄과 헤더만 반환. -- OPTIONS : 대상 리소스에 대한 통신 가능 옵션(메서드)을 주요 설명 GET -- 리소스 조회 --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query (쿼리 파라미터, 쿼리 스트링)을 통해서 전달. -- 메시지 바디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수 있지만 , 지원하지 않는곳이 많아 권장 X POST -- 요청 데이터 처리 -- 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 전달 -- 서버는 요청 ..
HTTP ( HyperText Transfer Protocol ) --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가능 . --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도 대부분 HTTP 사용 . --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-- 무상태 프로토콜(스테이스리스) , 비연결성 -- HTTP 메시지 -- 단순함, 확장 가능 클라이언트 서버구조 -- Request Response 구조 --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, 응답을 대기 --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서 응답. 무상태 프로토콜 (Stateless) Stateful --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 X ( ex : 고객(클라이언트)이 물건을 사는데 점원(서버)이 계속 바뀜 ) -- 장점 : 서버 확장성 높음 (스케일 아웃) 서버를 대거 투입할수있다. 무한한 서버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SkGF/btr8i8bKOxT/bmuvKJkOqKnId44iUDSwD1/img.png)
PORT == IP 는 목적지 서버를 찾는것 이라면, 서버 안에 애플리케이션을 찾는것이 PORT 라고 생각하자 . ( 같은 IP 에서 프로세스를 구분 ) TCP 특징 -- 전송 제어 프로토콜 (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) -- 연결지향 TCP 3 way handshake ( 가상연결 ) -- 데이터 전달 보증 ( 데이터 누락을 알수있음 ) -- 순서 보장 --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 UDP 특징 --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-- 하얀 도화지에 비유 ( 기능이 거의 없음 ) -- 연결지향 X -- 데이터 전달보증 X -- 순서보장 X -- 단순하고 빠름, ----- IP 와 거의 같다 . +PORT , 체크섬(검증데이터) 정도만 추가. ----- 애플리케이션에서 추가 작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