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분류 전체보기 (208)
YJ의 새벽
DOM (Document Object Model) -- 웹 문서(HTML)의 모든 요소를 객체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법 --> 문서 내 특정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 DOM 을 이용한 요소 접근 방법 1. id 속성 값으로 접근하기 ( document . getElementById ("id속성값") ; 2. class 속성값으로 접근하기 ( document . getElementsByClassName ( "class속성값" ); : 배열 arr[0], arr[1] ... 로 접근한다 . 3. name 속성값으로 접근하기 ( document . getElementsByName ("name속성값"); : 배열 arr[0], arr[1] ... 로 접근한다 . 4. tag name 으로 접근하기. ( doc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Q54s/btr0xLhRazZ/j4dG2zQmyLCDZTeDSPEbyk/img.png)
스크립트 (Script) 언어 -- 기본 프로그램의 동작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수행되도록 해주는 용도의 언어. -- 별도로 컴파일을 진행하지 않고 인터프리터 (interpreter)를 이용하여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어 바로 실행. --> 컴파일에 소요되는 시간이 없음 , 대신 프로그램 실행 시간이 느림. Javascript 란? -- 웹 브라우저에서 많이 사용하는 인터프리터 방식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. -- ECMA Script 표준을 따르는 대표적인 웹 기술이다 . 자바스크립트 작성 방법 1. 브라우저 콘솔에 직접 작성 2. 태그에 직접 JS 코드를 작성 ( inline ) 3. html 내부에 script 태그를 이용하여 작성 ( internal ) 4. html 외부에 파일 ( .js )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HgKH/btr0hdeKGb9/q1UF35acmmJuTnAZ2VFbbK/img.png)
display 속성 -- block : 화면을 수직분할 + width,height 사용가능 O -- inline : 화면을 수평분할 + width,height 사용불가 X -- inline-block : inline의 수평분할 + block의 크기조절 -- none : 화면에 요소가 표시되지 않으나, 존재는 하고있는 상태 -- flex : 요소의 정렬되는 방향, 간격을 유연하게 처리하는 방식 EX ))) block 형식 요소 div 를 inline 변경 1번영역 2번영역 3번영역 4번영역 5번영역 EX ))) inline형식 요소 span 을 block 변경 1번영역 2번영역 3번영역 4번영역 5번영역 EX ))) inline-block 확인하기 1번영역 2번영역 3번영역 4번영역 5번영역 -------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rRG2/btrZ70Z4u2r/Qd3i84nE8y4q4mOb72Xtak/img.png)
형상 관리 시스템 (Git) :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/통제 --여러 개발자가 하나의 원격 저장소에 있는 소스 코드를 받거나 변경한 코드를 병합하는 것이 가능. (협업가능) --Git (내컴퓨터에서 관리) --> push --> GitHub (원격저장소) https://www.sourcetreeapp.com/ --소스트리 셋팅하기 --> create --> 자바워크스페이스의 프로젝트선택. --> --> 깃허브 에서 만든 주소로 저장소 생성. --> OAuth 토큰 새로고침 . --------------깃헙 접근할 토큰 생성 . 토큰생성후 토큰키를 메모해두자. 금방 사라진다 . 다시돌아와서 ex )) https://YJdawn:토큰값@github.com/YJdawn/git_practice.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afCp/btrZ2y4fJWE/p0JpSou8YkUKfIMk8cKbd0/img.png)
**이진트리 (Binary Tree) -- 트리의 분지 수가 2 이하인 트리 -- 자식이 최대 2개이기때문에 왼쪽자식과 오른쪽 자식으로 구분 **이진트리 종류 -정 이진트리 : 모든 노드의 차수가 0또는 2인 이진트리 -포화 이진트리 : 정 이진트리에서 모든 단말 노드의 깊이가 같은 이진트리 -완전 이진트리 : 마지막 레벨은 노드가 왼쪽에 몰려있고 마지막레벨을 제외하면 포화 이진트리구조를 띄고있는 이진트리 -사향 이진트리 : 한 줄로 연결되어있는 형태의 이진트리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--이진트리 전위순회 :: A - B - D - E - C - F - G --현재노드방문 -> 왼쪽자식노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XLUZ/btrZ4bOkqif/hJrSkc1Yew43m3F2hwYOk0/img.png)
피보나치수열 -- 다음 항이 이전 두개의 합으로 표현되는 수열. --재귀함수로 피보나치수열을 구현 --반복문을 이용한 구현 --동적계획법을 이용한 구현. public class Fibonacci { public Fibonacci() { // 20 번째 값을 구한다. int result = recursion(20); System.out.println(result); repeat(20); dp(20); } private int recursion(int n) { // 재귀함수로 구현. if( n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aksi/btrW4FFGvl0/UevT6Tx9k5uKIBlHAX8Ze1/img.png)
DFS ( Depth First Search ) --그래프 탐색의 한 종류 --깊이 우선 탐색 이라고 부름. --루트 노드의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하여 , 최대로 진입할 수 있는 깊이까지 탐색한 후 다른 노드로 탐색하는 방식. --Stack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탐색. 장점 -- 현 경로들의 노드들만 기억하면 되므로, 저장공간 수요가 비교적 적음 -- 목표노드가 깊은단계있을경우 해를 빨리 구할수 있음. 단점 -- 해가 없는 경로가 깊을경우 탐색이 오래걸림. -- 얻어진 해가 최단경로가 된다는 보장이없음. --인접행렬 ( Adjacency Martix ) --인접리스트 BFS ( Breadth First Search ) -- 너비 우선 탐색이라고 부름 -- 루트 노드나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하여 인접한 노드를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lpuT/btrZ67YYIWj/P1vyVdqYMajhgoIfZyqps0/img.png)
--효율적으로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구성하고 저장하는 법. --각 원소들이 논리적으로 정의된 규칙에 의해 나열되며 자료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자료를 구분하여 표현한 것. 선형 자료구조 : 자료룰 구성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나열시킨 구조 -- 배열 (Array) --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 -- 스택 (Stack) -- 큐 (Queue) 비선형 자료구조 : 하나의 자료 뒤에 여러개의 자료가 존재하는 구조 --트리 (Tree) --그래프 (Graph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선형 자료구조 ** 배열 ? :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로 특정 자료형의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구조 -- 데이터 접근이 용이 -- 데이터 삽입/삭제가 어려움 ..